의약품
-
[의약품] GMP, GDP, GPP에 대하여의약품 이야기 2020. 4. 26. 09:00
오늘은 의약품의 안전 기준이 되는 GxP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xP 의약품의 효과와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한 기준은 참 다양합니다. 제품 원료를 선택할 때부터, 가공하고, 포장하고 유통하여 판매되기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나름의 가이드라인이 모두 존재하는데요, 이 모든 것들을 통틀어 GxP라고 합니다. 여기서 G는 Good, P는 Practice, x는 수학에서 변수를 의미하듯 빈칸처럼 그 속에 각 단계 별 첫 글자가 들어가게 됩니다. GxP는 단순 권고의 기능만 있는 제안서가 아니라 법적 구속력도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시 기업의 입장에서 꼭 고려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그리고 제품에 대한 평가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선 누군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는 자세한 기록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해당..
-
[의약품] 약 정보 확인하는 법의약품 이야기 2020. 4. 13. 09:00
오늘은 내가 먹고 있는 약이 어떤 약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볼까 합니다. 너무나 당연한 방법부터 새로운 방법까지 모두 다룰 예정이니 가볍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은 약사에게 처방받은 약의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지요! 약을 탈 때 약사에게 물어보는 것이 확실하고 간단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예전에 타둔 약이거나 약국에 갈 시간이 없다면 물어볼 수가 없겠죠? 약 봉투 확인하기 이런 상황에 참고하기 좋은 안내서가 바로 약 봉투의 겉면에 적혀있습니다. 처방받은 약의 종류와 이름, 수량 그리고 부작용,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인물까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다만 약국에 따라 어떤 정보는 누락되기도 합니다. 위와 같은 봉투를 받는다면, 부작..
-
[의약품] 약물의 상호작용의약품 이야기 2020. 4. 12. 09:00
약이나 영양제를 챙겨 먹을 때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아마 "같이 먹어도 되나요?"일 것이다. 오늘은 이런 의문이 드는 원인 중 하나인 약물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약물과 약물의 상호작용 생물 생물체 부분들의 기능 사이나, 생물체의 한 부분의 기능과 개체의 기능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정한 작용. 사전에 찾아보면 나오는 정의이다. 모두가 알고 있듯, 섭취한 약품이 제 효과를 발휘할 때 함께 먹은 다른 약품과 충돌하거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는 한 번에 섭취하는 약의 종류가 많을수록 변수가 많아지기에 처방 시 의사와 약사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1. 상가작용 비슷한 효과를 가진 두 약품이 체내에서 각각의 효과를 더한 만큼의 효능을 낼 때 상가 작용이라 한다. (A약과 B 약..
-
[의약품] 약물 내성과 금단 현상의약품 이야기 2020. 4. 6. 09:00
약이 체내에서 치료의 효과가 나타나는 원리는 참 다양하다. 물리적으로 직접 통증의 원인을 차단할 수도 있고, 결합을 통해 훨씬 큰 단위로 성장해 배설을 도울 수도 있다. 오늘은 다양한 치료 원리 중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방식을 활용해 약물 내성과 금단 현상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실제 약물 내성과 금단현상은 정말 복잡합니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수많은 원리 중 수용체와 길항제의 작용 사례만을 바탕으로 다룬 점 참고 바랍니다. 잘못된 내용이 발견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포 수용체 고등학교 생물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떠올려 보자. 세포막 표면에는 외부 물질이 결합하는 창구가 있다. 하나의 수용체는 모든 물질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고 선택적으로 일부 물질과만 연결된다. 비유하자면 수용체를 자물..
-
[의약품] 코로나 신약 개발 기간, 치료제는 언제쯤 나올까?의약품 이야기 2020. 4. 5. 09:00
신약을 개발하기까지 얼마나 걸리는가? 또 개발된 약의 안전성을 점검하고 시판되기 까지는?? 오늘은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가 언제쯤 나올지에 대한 궁금증을 계기로 신약 개발 과정과 기간에 대해 알아보았다. (바쁜 사람을 맨 아래 결론으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점이 발견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의약품의 개발 단계 크게 나누면 전임상 시험과 임상 시험으로 이루어진다. 임상 시험은 많이들 알고 있는 상품화가 되기 전 지원자를 받아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시험이고, 그전에 이루어지는 동물 실험을 전임상이라 일컫는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전임상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임상 시험도 진행하지 못한다. 전임상 시험 확인하는 정보는 효능과 안정성이다. 치료 목적에 부합하는 효과와 생물체 안에서 발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