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이야기
-
[의약품] 감기약은 치료제가 아닙니다의약품 이야기 2020. 4. 27. 09:00
감기약은 뭐다? 여러분이 자주 드나드는 도로 한복판에 갑자기 큰 구멍이 생겼다고 생각해보세요. 안전을 위한 제대로 된 대처 방법은 무엇인가요? 당연히 그 구멍에 흙을 뿌려 메운 후 도로를 닦는 게 제대로 된 대처 방법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분명히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들기 때문에 작업이 완성되기 전까진 주변 진입로를 차단하여 통행을 통제해야 합니다. 이게 불편하다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결국 임시방편으로 그 구멍 위에 판자를 덧대었다고 가정해봅시다. 여러분은 이 길 위를 지나갈 것인가요? 구멍 위에 올려진 판자. 감기약이 바로 이런 존재입니다. 억제하거나 차단하거나 대표적인 감기 처방약의 종류에는 해열제,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진통제, 진해거담제 그리고 소화제와 위장약이 있습니다. 먼저 해열제부터..
-
[의약품] GMP, GDP, GPP에 대하여의약품 이야기 2020. 4. 26. 09:00
오늘은 의약품의 안전 기준이 되는 GxP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xP 의약품의 효과와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한 기준은 참 다양합니다. 제품 원료를 선택할 때부터, 가공하고, 포장하고 유통하여 판매되기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나름의 가이드라인이 모두 존재하는데요, 이 모든 것들을 통틀어 GxP라고 합니다. 여기서 G는 Good, P는 Practice, x는 수학에서 변수를 의미하듯 빈칸처럼 그 속에 각 단계 별 첫 글자가 들어가게 됩니다. GxP는 단순 권고의 기능만 있는 제안서가 아니라 법적 구속력도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시 기업의 입장에서 꼭 고려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그리고 제품에 대한 평가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선 누군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는 자세한 기록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해당..
-
[의약품]어린이 약물 중독 사고의약품 이야기 2020. 4. 20. 09:00
소아 환자의 약은 어떻게 개발될까요? 처방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요? 오늘은 약물 투여 대상을 어린이로 한정하여 나타나는 상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아 약물 치료학 먼저 약의 개발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소아 환자의 경우 성인의 사이즈만 작은 버전이라고 인식하면 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아는 성인과 또 달리 약의 효과가 안정성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아예 다른 개체라고 생각하고 연구를 진행합니다. 다만 문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실험을 진행하기 힘들다는 점입니다. 참고로 소아기는 만 2~12세, 그 이후를 청소년기라고 합니다. 소아의 특징 1. 갓 태어난 신생아의 위 산도는 중성이며 생후 12~48시간부터 위산이 분비되어 한 ..
-
[의약품] 게임 중독도 이제 질병이다?의약품 이야기 2020. 4. 19. 09:00
2018년 6월 WHO가 새로운 질병 분류 기호 코드를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는 '게임'을 중심으로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환자의 처방전은 치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가 적혀있습니다. 여기에는 어떤 병을 앓고 있는지도 당연히 포함되어 있는데요, 다만 환자의 질병을 그대로 노출할 경우 개인 정보 보호 침해의 문제가 발생해 명칭 대신 질병분류 기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기준이 국제적으로는 ICD, 국내의 기준은 KCD라 불리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절한 수정을 거쳐 보완되기도 합니다. 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2019년 5월 세계 보건총회가 발표한 국제 질변 분류는 '중독성 장애' 분류에 '게이밍 장애'의 코드가 추가되었습니다..
-
[의약품] 약 정보 확인하는 법의약품 이야기 2020. 4. 13. 09:00
오늘은 내가 먹고 있는 약이 어떤 약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볼까 합니다. 너무나 당연한 방법부터 새로운 방법까지 모두 다룰 예정이니 가볍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은 약사에게 처방받은 약의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지요! 약을 탈 때 약사에게 물어보는 것이 확실하고 간단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예전에 타둔 약이거나 약국에 갈 시간이 없다면 물어볼 수가 없겠죠? 약 봉투 확인하기 이런 상황에 참고하기 좋은 안내서가 바로 약 봉투의 겉면에 적혀있습니다. 처방받은 약의 종류와 이름, 수량 그리고 부작용,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인물까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다만 약국에 따라 어떤 정보는 누락되기도 합니다. 위와 같은 봉투를 받는다면, 부작..
-
[의약품] 약물의 상호작용의약품 이야기 2020. 4. 12. 09:00
약이나 영양제를 챙겨 먹을 때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아마 "같이 먹어도 되나요?"일 것이다. 오늘은 이런 의문이 드는 원인 중 하나인 약물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약물과 약물의 상호작용 생물 생물체 부분들의 기능 사이나, 생물체의 한 부분의 기능과 개체의 기능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정한 작용. 사전에 찾아보면 나오는 정의이다. 모두가 알고 있듯, 섭취한 약품이 제 효과를 발휘할 때 함께 먹은 다른 약품과 충돌하거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는 한 번에 섭취하는 약의 종류가 많을수록 변수가 많아지기에 처방 시 의사와 약사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1. 상가작용 비슷한 효과를 가진 두 약품이 체내에서 각각의 효과를 더한 만큼의 효능을 낼 때 상가 작용이라 한다. (A약과 B 약..
-
[의약품] 약물 부작용의약품 이야기 2020. 4. 7. 09:00
나는 코가 심하게 막히거나 열이 나면 지체 없이 병원에 간다. 처방받은 약을 받아 3일간 먹고 효과가 없으면 또다시 내원한다. 이때 약국에서 받은 약봉투 겉면에는 내가 어떤 종류의 물질을 처방받았는지 이름과 그 효과가 적혀있지만 전혀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감기약에도 부작용이 있다.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나눠보자 먼저 용어부터 정리하자 부작용(Side Effects) 부작용은 말 그대로 약품을 사용한 주 목적, 효과 이외에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증상을 의미한다. 환자에게 끼치는 영향이 이롭던 해롭던 의도치 않았다면 모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주작용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고, 다음에 설명할 약물 이상 반응에 비해 약한 반응을 보이며 저절로 해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약물 이상반응(Adverse Drug R..
-
[의약품] 약물 내성과 금단 현상의약품 이야기 2020. 4. 6. 09:00
약이 체내에서 치료의 효과가 나타나는 원리는 참 다양하다. 물리적으로 직접 통증의 원인을 차단할 수도 있고, 결합을 통해 훨씬 큰 단위로 성장해 배설을 도울 수도 있다. 오늘은 다양한 치료 원리 중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방식을 활용해 약물 내성과 금단 현상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실제 약물 내성과 금단현상은 정말 복잡합니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수많은 원리 중 수용체와 길항제의 작용 사례만을 바탕으로 다룬 점 참고 바랍니다. 잘못된 내용이 발견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포 수용체 고등학교 생물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떠올려 보자. 세포막 표면에는 외부 물질이 결합하는 창구가 있다. 하나의 수용체는 모든 물질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고 선택적으로 일부 물질과만 연결된다. 비유하자면 수용체를 자물..